이 세상의 진실을 팩트 체크하는 책.
사실충실성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뉴스는 부정적 면을 보도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나쁜 소식은 좋은 소식보다 우리에게 전달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어떤 상황이 점점 좋아져도 그것은 뉴스가 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주변 세계에 대해 항상 지나치게 부정적 인상을 받기 쉽고, 이것이 대단한 스트레스가 된다.
부정 본능을 억제하려면 나쁜 소식을 예상하라.
• 나아지지만 나쁘다 현 수준(예: 나쁘다)과 변화의 방향(예: 좋아진다)을 구별하는 연습을 하라. 상황은 나아지는 동시에 나쁠 수도 있다는 확신을 가져라.
• 좋은 소식은 뉴스가 안 된다 좋은 소식은 거의 보도하지 않는다. 그래서 뉴스는 거의 항상 나쁜 소식이다. 나쁜 소식을 볼 때면, 같은 정도의 긍정적 소식이었다면 뉴스에 나왔을지 생각해보라.
• 점진적 개선은 뉴스가 안 된다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중에 주기적으로 작은 문제가 나타난다면, 전반적 개선보다 그 문제를 주목할 가능성이 높다.
• 뉴스에 많이 나온다고 해서 고통이 더 큰 것은 아니다 나쁜 뉴스가 많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이 나빠져서가 아니라, 고통을 감시하는 능력이 좋아졌기 때문일 수 있다.
• 장밋빛 과거를 조심하라 사람들은 유년의 경험을, 국가는 자국 역사를 곧잘 미화한다.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 - 밀리의 서재
언론은 우리의 주목 필터를 통과하지 못할 이야기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다. 주목 필터를 통과할 것 같지 않아 편집장의 승낙을 얻지 못한 기사 제목을 2개만 살펴보자. “말라리아 지속적으로 감소.” “오늘 런던 날씨가 포근하겠다던 기상청의 예측 적중.”
반면 우리의 필터를 쉽게 통과하는 주제를 나열해보자. 지진, 전쟁, 난민, 질병, 화재, 홍수, 상어 공격, 테러. 이런 드문 사건은 일상적 사건보다 뉴스로서 더 가치가 있다. 그리고 언론에서 꾸준히 봐온 드문 이야기가 우리 머릿속에 큰 그림을 그린다. 그래서 아주 조심하지 않으면 그 드문 일을 흔한 일이라고, 세상은 그렇게 돌아간다고 믿는 수가 있다.
세계 역사상 처음으로 이제는 세계 발전의 거의 모든 측면을 보여주는 각종 데이터를 확보했다. 그러나 극적 본능 탓에, 그리고 언론이 그 본능을 이용해 주의를 사로잡는 탓에 우리는 늘 세상을 과도하게 극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극적 본능 중에서도 뉴스 생산자가 정보를 선별해 우리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공포 본능이 아닐까 싶다.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 - 밀리의 서재
언론은 사람들의 공포 본능을 이용하려는 욕구를 억제하기 어렵다. 주의를 사로잡는 데는 공포만 한 게 없기 때문이다. 사실 가장 주목을 끄는 이야기는 여러 종류의 공포를 동시에 촉발하는 것일 때가 많다. 이를테면 납치나 항공기 사고는 위해의 공포와 감금의 공포를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지진 피해자 중에서도 무너진 건물 더미에 갇힌 사람은 다친 데다 갇히기까지 해서 다른 피해자보다 더 주목을 많이 받는다. 드라마는 여러 공포가 합쳐질 때 더욱 강한 힘을 얻는다.
그러나 여기에는 모순이 있다. ‘위험한 세계’라는 이미지는 요즘 그 어느 때보다 효과적으로 방송을 타지만, 실제 세계는 다른 어느 때보다 덜 폭력적이고 더 안전하다.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 - 밀리의 서재
2016년에 총 4000만 대의 상업 항공기가 목적지에 무사히 착륙했다. 치명적 사고를 당한 항공기는 10대에 불과하다. 언론이 언급하는 항공기는 당연히 이 10대다. 전체 항공기 가운데 0.000025%다. 무사히 착륙한 항공기는 뉴스거리가 못 된다. 이렇게 상상해보자.
“시드니를 출발한 BA0016기가 싱가포르 창이Changi 공항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오늘의 뉴스였습니다.”
2016년은 항공 역사상 두 번째로 안전한 해였다. 이 역시 뉴스거리가 못 된다. 다음 도표는 지난 70년간 100억 승객 마일당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를 나타낸다.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 - 밀리의 서재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738) 직장인의 글쓰기 6단계 문서 작성법 (0) | 2025.07.19 |
---|---|
독서노트(736) 인플루언서와 진정성 (0) | 2025.07.13 |
독서노트(735) 인생컨닝페이퍼 결혼 (0) | 2025.07.12 |
독서노트(734) 리코더 구멍 (0) | 2025.07.06 |
독서노트(733) 경제 실력 레벨 업 추천도서, 금융앱 (0) | 2025.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