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민6

대학원생일기(35)박사과정 진학 고민이라면 이 영상과 댓글 추천 박사과정 진학이 고민이시라면 아래 영상을 한번 보시기를 추천해드립니다. 현실적인 고민과 박사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덤으로 이 영상 밑에 달린 댓글들도 좋은 인사이트를 주는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영상 만큼이나 댓글 읽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2022. 2. 7.
기업 불합격후, 마음에 나타난 몹쓸 증상 10가지 그리고 마음의 신비 독백조. 중모리 장단. 다소 길어서 뒤로 누르셔도 됩니다잉. 2011 하반기 공채에서 가고싶은 분야와 회사에 지원했지만.... 결과는? 떨어졌다.하하하하하. 시원하고 맑게. 가고싶었던 기업에 떨어지다보면 마음과 머릿속은 이런 것들로 휩싸이게 된다. 그 불합격 횟수가 점점 늘어날수록...심해진다... '자신감 상실'+'자기부정'+'의욕상실'+'현실인식'+'부모님께 죄송'+'대인기피 살짝'+'자기변명'+'명절 기피증 4배 증가'+'약간의 우울증세' +'그래도 근거없는 희망'= 100 각각 대략 10%씩. 참..근거없는 희망은 1%정도.그야말로 복잡오묘한 감정이다. 취업시장에 몸을 던진 한 인간의 내면에 '온갖 부정적 생각들'이라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것이다. 이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본 후 지원한 대학에 떨어졌.. 2012. 1. 7.
청춘콘서트 2.0 : 김제동, 법륜스님,김여진 강연일정 http://cafe.daum.net/chungcon 2011. 11. 21.
죽으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 열띤 강연을 해주신 최염순 대표님 이번 글제목을 보고 혹시나 우리 어머니께서 놀라시지 않기를 바란다. 이 글은 유서가 아니라 망치로 얻어맞은 듯한 기분이 들게 만든 한 질문에 대한 이야기다. ^^; '죽으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3월 24일, 카네기연구소 최염순 대표님의 강연을 들으며 재차 내 가슴에 던진 질문이다. 대표님은 죽으면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지 한번쯤 고민해보라고 한다. 생각만큼 쉽지는 않지만, 자기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떠들고, 찡그리고, 울고, 웃고, 화내는 나라는 존재. 나는 과연 죽으면 어떻게 기억될까? 농구의 버저비터 슛처럼 심장을 쿵쾅거리게 하는 삶으로 기억될까? 길거리에 나뒹구는 찌그러진 캔처럼 그저 빈 깡통깥은 삶으로 기억.. 2011. 3. 28.
[내일로 여행기 시작글]기차레일은 나무젓가락을 닮았다. 내 청춘은? [시작하는 글] 기차레일은 나무젓가락을 닮았다. 내 청춘은? 내일로 여행기를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고민하다가, '철로' 너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 배고파서 컵라면을 먹기 전 나무젓가락을 본 순간, 딱 네가 제일 먼저 생각났기 때문이다. 보라! 나무젓가락의 생김새가 기차레일 너랑 똑 닮았더구나. 그리고 한 가지 공통점이 더 있다. 하나로 붙어있을 때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서로 떨어져 있을 때는 제 역할을 한다는 것. 1.기차레일은 나무젓가락을 닮았다는 새로운 발견 붙어있는 나무젓가락을 '탁'소리와 함께 떼어내는 순간, 비로소 라면으로 향하는 여행이 시작된다. ▲ 점촌역에서 바라 본 철로. 철로 너는 위 사진처럼, 둘로 딱 쪼개져 있어 기차와 수많은 사람들을 싣고 어디론가 떠난다. 나무.. 2011. 1. 12.
마지막으로 낀 주유소 장갑이여, 잘 있거라! ▲ 주유소 아르바이트 마지막 날에 낀 장갑 11월 7일, 주유소 저녁 아르바이트를 그만두고 정든 주유소를 떠났습니다. 마지막 날 밤 집에 돌아와서 주머니를 살펴보는데 이 녀석이 들어있더군요. 바로 제가 주유소 알바를 하면서 마지막으로 낀 장갑이었습니다. 저를 따라오고 싶었는지, 아니면 그저 우연인건지 제 방까지 오고 말았네요. 휴지통에 버렸다가, 다시 녀석을 꺼내 이 글을 씁니다. 지난 시간들이 생각나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되더라구요. 아르바이트와 학업을 병행하니,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갔습니다. 부모님께 손을 벌리고 싶지 않아 시작한 아르바이트를 막상 그만두니 다음 달 생활비가 또 걱정입니다. 학업에 지장되지 않게 주말에만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알바하며 깨달은 것 : 세상은 혼자.. 2010.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