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노트

2017 독서노트(19)간송미술 36, 털끝 하나 흔들림 없어라

by 이야기캐는광부 2017. 1. 17.
반응형



연암 박지원은 겸재 정선에 대해 이야기했다. 


"겸재는 여든이 넘어서도 도수가 높은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세화를 그리곤 했는데 털끝 하나도 틀림이 없었다."


책<간송미술 36>에 진경산수화로 유명한 겸재의 그림이 실려있다. 하나는 <서과투서>, 다른 하나는 <풍악내산총람>. 겸재를 말할 때 산수화의 대가라는 단어가 먼저 떠오른다. 그런데 <서과투서>는 따스한 일상을 담았다. 수박을 파먹고 있는 쥐 한쌍의 모습을 정겹게 그려냈다. 따스함으로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그림이다.수박을 한 입 베어먹었을 쥐들이 귀엽다. 수박이 편안한 집같다. 집 마당에서 놀고있는 듯한 느낌.



겸재정선, 서과투서



<풍악내산총람>은 가을의 내금강 전경을 화폭에 담았다. 내금강의 풍경을 압축시켜 담으면서 태극의 형상을 표현했다고 한다. 산봉우리의 모양이며 산 중턱의 절간과 석불의 모습까지 세세하게 그려냈다. 집에 걸어두고 바라보고 싶은 그림이다. 이 그림이야말로 눈을 감고 금강산을 굽어보듯 마음으로 그린 그림이 아닐런지.



겸재 정선 풍악내산총람



탄은 이정의 <풍죽>. 강한 바람에도 굴하지 않는 선비의 굳은 절개를 연상시키는 그림이다. 바위틈을 뚫고 올라온 묵죽의 모습은 우리 삶과 비슷하다. 숱한 바람에 휘둘리거나 휘어지거나, 등골이 휘어지거나 하는 삶 속에서 바윗돌에 뿌리를 내리고 버텨내야하는 그 질긴 인내와 삶의 속성. 이정은 작품<풍죽>에서 우리들이 가져야하는 삶의 자세를 보여주고 있는게 아닐까.



탄은 이정 풍죽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간송미술전시에 간 적이 있다. 옛 그림을 코 앞에서 대할 때의 뭉클함과 아련함. 생각했던 것보다 큰 그림도 있었고, 생각했던것보다 작은 그림도 있었다. 나의 무지가 드러나는 순간. 몇 백년의 세월을 거슬러 당대의 예술세계를 엿본듯한 느낌이 들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그림은 신윤복의 그림들이었다. 어쩜 그 당시에 그런 색깔을 쓸 수 있었을까. 그림속 인물들이 한 명 한 명 살아있는듯 했다.








간송미술문화재단 : http://kansong.or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