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은행2513

섬청년탐사대 이야기(7) 섬사진관 제1호점, 울컥하는 심정으로 셔터를 눌렀다 "장수사진을 찍으실 어르신들은 마을회관으로 지금 모여주시기 바랍니다." 민박집 마루에 벌러덩 누워있는데 마을 이장님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어라? 좀 이상했다. 옳거니! 자세히 들어보니 섬청년탐사대원 훈호의 목소리다. 재간둥이 훈호가 마을 이장님에 빙의해 마이크를 잡았던 것. 깜짝 속았다. 훈호를 비롯한 섬청년탐사대원들은 26일 관매리마을회관에서 '섬사진관 제1호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관매도 어르신들의 장수사진을 찍어드리기위해 마련됐다. 사실 고백하자면 이 시간 나는 민박집에 짱 박혀 달콤한 낮잠에 빠져 있었다. 영호의 전화에 벌떡 일어나 비몽사몽으로 마을회관으로 걸어왔던 것. "남는 인원들은 뚝방 칡뿌리 자르러 갈거에요." 영호의 말에 주머니에서 장갑을 주섬주섬 꺼내던 찰나, 마을회관에.. 2016. 3. 30.
섬청년탐사대 이야기(6)관매도 추억의 이발관과 호섭이 머리의 추억 | "18살때부터 이발했지. 1969년 이용사 시험을 봤고. 국민학교 졸업 후에 물길어 나르면서 이발 기술을 배웠어." 관매도에서 '추억의 이발관'을 운영하는 조종복(65세) 씨는 잠시 가위질을 멈추고 지난 세월을 반추했다. 1월 섬청년탐사대원으로 관매도를 찾은 날, 조종복 씨와 짧은 이야기를 나눴다. 면도칼과 가위, 손톱깎이, 포마드 기름, 빛바랜 카세트 테이프, 낡은 금고, 빨간 분무기…. 옛 이발의 추억에 잠기게 하는 이곳은 처음엔 '문화이발소'란 이름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흔한 3색 회전등도, 번듯한 간판도 없지만 이곳은 특별한 공간이다. 육지의 이발관으로 가기 어려운 관매도 어르신을 대상으로 주2회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옛날 관매도에 15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았지만 지금은 200여명 정.. 2016. 3. 30.
섬청년탐사대 이야기(5)영일이 아저씨 "얼굴들이, 성격들이 다들 밝아. 짜증나는 일이 있어도 밝게 하고. 힘들어도 얼굴에 표를 안내는 것 같아. 그런게 얼매나 고마워. 웃으면서 배려할 수 있다는 게 흔한게 아녀." 영일이 아저씨는 섬청년탐사대를 '웃으면서 배려하는 사람들'이라고 표현했다. 27일 관매도를 떠나던 날, 영일이 아저씨와 나는 짧은 이야기를 나눴다. 섬청년탐사대가 오후 3시 배를 타고 떠나는 날이었다. 사진: 섬청년탐사대 열정여행가 김훈호 아저씨에게 관매도는 어떤 섬인지 물었다. "솔직히 내 성격으로 봐서는 안맞지. 처음에는 솔직히 적응 안되더라고. 내 고향이지만.. 세월이 약이라고...세월이 흐르다보니 내가 적응을 하더라고. 관매도가 나한테 적응하는게 아니라 내가 적응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지." 영일이 아저씨는 우리가 섬에 있.. 2016. 3. 29.
윤대녕의 단편소설<찔레꽃 기념관> 밑줄 "옛날 가난한 선비들은 집 둘레에 찔레꽃을 심어 울타리를 삼았어요. 왜 보릿고개란 말 있잖아요. 그때가 바로 찔레꽃이 필 무렵인데 가난한 선비들은 먹을 게 없어 나물이나 피죽으로 겨우 연명하며 살았죠. 그래도 책을 읽고 글을 썼어요. 없이 살아도 운치와 격조가 있었던 거예요. 요즘 세상엔 아무도 그렇게 못하죠. 일단 먹을 것부터 챙겨놓고 보자는 식이잖아요. 꼭이 당신 들으라고 하는 소리가 아니니까 또 발끈하지 말요."-윤대녕의 중에서- 2016. 3. 19.
섬청년탐사대 이야기(4)강제윤 시인의 책 속 옛 사랑의 작은 섬, 관매도 "이 책들 한 번 읽어보슈~" 오지탐험가 김성선 대장님이 내게 책 3권을 내밀었다. '그 별이 나에게 길을 물었다', '당신에게 섬', '섬을 걷다-모든 것을 내려놓고 홀로 떠나는 섬 여행'. 모두 섬순례자 강제윤 시인의 책이었다. 시인은 관매도를 어떻게 표현했을까. 무엇을 보았을까. 마침 시인의 책 '당신에게, 섬'에서 관매도는 '옛사랑의 작은 섬'으로 불리고 있었다. 슬픈 사랑의 이야기를 품고서. "1965년 여름, 어떤 남녀가 관매도를 찾았다. 둘은 마을 뒷산에서 동반 자살을 했다. 음독이었다. 20대 후반, 두 남녀는 우연히 만나 깊은 사랑에 빠졌다. 평생 함께 할 것을 약속한 남녀는 양쪽 부모님의 결혼 허락까지 받아냈다. 마침내 양가의 상견례 날. 비극은 그곳에서부터 시작됐다. 상견례를 위해 식.. 2016. 3. 17.
3월 21일 대전독서모임 산책 -미움받을 용기 선정도서 : 미움받을 용기 일시 : 2016년 3월 21일(월) 오후 7시 30분 장소 : 여행문화센터 산책(라푸마둔산점 2층) 참가비 : 5,000원(커피, 다과) 2016. 3. 15.
부활 4대 보컬 김재희 산책 콘서트 3월 18일 라푸마둔산점 부활 4대 보컬 '사랑할수록' 김재희 산책 콘서트(특별게스트 : 오지탐험가 김성선, 오카리니스트 조은주) 일시 : 2016년 3월 18일(금) 오후 7시 30분장소 :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대전 서구 둔산남로 87)입장료 : 1만원주최 : 여행문화학교 산책후원 : 라푸마둔산점문의 : 042-482-4821 2016. 3. 10.
술과 친한 서술어 먹었다.취했다.토했다.늦었다.끊겼다. 2016. 3. 8.
권정생의 동화<강아지똥>, 삶을 향한 따스한 위로 "그런데 한 가지 꼭 필요한 게 있어."민들레가 말하면서 강아지똥을 봤어요."......""네가 거름이 돼 줘야 한단다.""내가 거름이 되다니?""네 몸뚱이를 고스란히 녹여 내 몸 속으로 들어와야 해. 그래야만 별처럼 고운 꽃이 핀단다." 권정생 선생님의 동화책에 나오는 강아지똥과 민들레의 대화내용이다. 이 동화책은 강아지가 싼 똥을 의인화 시켜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강아지 똥은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여겨 늘 의기소침해 있다. 그러다가 자신을 필요로 하는 민들레를 만나게 되면서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된다. '나도 누군가에게 필요한 존재구나.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일을 할 수 있구나.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데 소중한 거름이 될 수 있구나." 강아지 똥은 아마 이런 생각을 하며 민들레가 예쁘게 필 수 있도록.. 2016.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