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은행2513

2월 대전독서모임 산책 후기, 지미 리아오의 별이 빛나는 밤을 읽고서 "내게도 친구가 몇 명 있지만, 여전히 알 수 없는 외로움을 느낀다." 지미 리아오의 책에는 페이지가 없다. 그러다보니 2월 29일 라푸마둔선점 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열린 독서모임이 흥미진진하게 진행됐다. 감명깊은 구절을 찾으려면 책을 한번이라도 더 펼쳐봐야 했다. 숨바꼭질을 하며 어딘가에 숨은 동무를 찾는 열심히 찾는 기분이랄까. 이 책은 그림과 짧은 문구로 강렬한 여운을 남긴다. '우리는 누구나 외롭다'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해준다. 외로움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책속의 주인공인 소녀는 밤하늘을 올려다보던 이웃집 소년을 만난다. 소년과 함께 어릴 적에 할아버지와 살던 산속 마을로 여행을 떠난다. 여행을 다녀와서 소년은 홀연히 떠나고 만다. 아무 말 없이. 소녀는 소년의 집을 찾아간다. 소년의 .. 2016. 3. 6.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18, 20,21권 밑줄 그은 문장 사통오달의 광장에 서서 여행가방을 팔에 낀 영광은 담배를 뽑아물고 두 손으로 바람을 막으며 담뱃불을 붙인다. 언제나 그랬지만 가슴이 설레었다. 어디든 떠단다는 것은 새로움이다. 자기 자신으로부터 또 다른 하나의 자신이 마치 번데기에서 빠져나온 것처럼, 폐쇄된 자기 자신으로부터 문을 열고 나서는, 그것은 신선한 해방감이다. 그러나 새로움이란 낯섦이며 여행은 빈 들판에 홀로 남은 겨울새같이 외로운 것, 어쩌면 새로움은 또 하나의 자기 폐쇄를 의미하는 것인지 모른다. 마주치는 사물과 자신은 전혀 무관한 타인으로서 철저한 또 하나의 소외는 아닐는지.-박경리 제18권, 233쪽- 어제 일같이 눈앞에 생생하게 떠올랐다. 왜 그때 일이 생각났을까? 서희는 아마도 마을 아낙이 와서 통곡을 한 때문에 그 기억이 되살아났.. 2016. 3. 6.
봄비 오후 8시 53분.겨울의 뒤뜰에 봄비가 내리고 있다.손목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깨어 났나 보다.맥박이 폴짝폴짝 뛴다.빗방울이 엉덩방아를 찧는 소리도 들린다.통통..통통...자취방은 LP판이다. 2016. 3. 5.
우산 펴기 귀찮아 가끔은 우산을 펴기 귀찮아빗방울에 눈을 그려주고 싶어똑바로 보고 알아서 나를 피해가라고봄이 오면 꼭 사랑을 해야할 것만 같아비가 오면 꼭 우산을 펼쳐야 할 것만 같아사랑도 하지 않고 우산을 펴지도 않으면자취방에서 곰팡이처럼 슬어있으려나 2016. 3. 4.
영화 '동주'를 봤다 영화 '동주'를 봤다. 1945년 그는 눈을 감았다. 하늘과 별과 바람과 詩는 세상에 남았다.내가 보는 것들이 언젠가는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슬프다.내가 보는 것들이 남아있고 언젠가 내가 사라진다고 생각해도 슬프다.네가 보는 것들이 언젠가는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슬프다.네가 보는 것들이 남아있고 언젠가 네가 사라진다고 생각해도 슬프다.우리가 보는 것들이 언젠가는 사라진다고 생각하면 참 슬프다.우리가 보는 것들이 남아있고 언젠가 우리 모두가 사라진다고 생각해도 슬프다.살아있는 건 참 좋은데, 살아간다는게 왜 이리 슬픈지 모르겠다. 2016. 3. 3.
섬청년탐사대 이야기(3)관매도 해양쓰레기를 줍다가 별의별 생각 섬이 만약 콧구멍을 가지고 있다면 이날 코딱지 한 번 시원하게 파준 정도 였을 것이다. 그래도 섬은 무척 고마워 하지 않았을까. 섬이 만약 신발을 신고 다닌다면 발바닥을 성가시게 하는 작은 모래 알갱이를 빼 준 정도 였을 것이다. 그래도 섬은 고맙다며 흰 치아를 드러내며 웃어보였을듯 하다. 섬청년탐사대원들은 지난 28일 진도군 관매도 해변의 골짜기를 찾아가 해양쓰레기 치우기 봉사활동을 펼쳤다. 처음엔 막막했다. 저 많은 양을 언제 다 치우나. 허..참..재밌는 것이..참 놀라운 것이.. 탐사대원들이 모두 힘을 합치니 골짜기를 가득 메웠던 쓰레기들이 조금씩 사라져갔다. 이날 귀중한 유물을 발굴하는 심정으로 모래를 팠다. 너덜너덜해진 구두와 줄무늬 슬리퍼가 얼굴을 내밀었다. 바다 위를 걸어 온 것인가비네. .. 2016. 3. 2.
대전이 좋다! 2016 제14기 대전시 e-시정도우미 모집 대전시가 대학생 참여프로그램 '대전시 e-시정도우미'를 운영한다. 모집요강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의 꽃, 대외활동을 대전시와 함께 해보는 것은 어떨까? 1. 모집인원 : 100명 내외 2. 모집기간 : 2016년 2월 19일(금)~ 3월 8일(화) 24:00 3. 지원자격 : 대전권 대학 재학생 및 대전시에 주민등록이 있는 대학생 ※ 대전시정에 관심이 많은 SNS 활용능력 우수자, 온오프라인 활동 가능자 우선 선발 4. 지원방법 :전용홈페이지(supporter.daejeon.go.kr) 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후 e-mail(zepero126@korea.kr)로 전송 5. 활동내용 : -참신한 시정홍보 SNS 콘텐츠 제작 및 홍보 -시 공식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 콘텐츠 공유 및 댓글 .. 2016. 3. 2.
섬청년탐사대 이야기(2)관매마을 87세 할머니의 뒷모습은 문장의 마침표를 닮았다 진도군 관매도 마을 돌담길따라 걷다보면 옛 이야기를 간직한 할머니들과 만날 수 있다. 할머니들의 주름진 손을 잡으면 온돌방 아랫목처럼 뜨뜻한 삶의 이야기들이 혈관을 지나 가슴에 전해진다. 때론 그 이야기들이 눈물샘에 고여 울컥해지기도 한다. 2월 28일 섬청년탐사대원으로 관매도 관매마을을 찾은 날이 그랬다. "이제 죽을 날만 남았지 뭐…영감은 작년에 먼저 떠났어.." 배추 밭 흙을 호미로 고르고 있던 할머니는 한숨을 뱉으며 말했다. 진달래빛 팔토시를 찬 팔뚝을 무릎위에 힘없이 떨어트렸다. 잠시 먼데를 바라보시는데... "저어~기 노오란 꽃 피었네..저게 뭐시더라. 응...유채꽃…." 할머니는 관매도에서 태어나서 이곳에서 87년간 쭉 살아오셨단다. 할머니는 딸 셋, 아들 하나를 두고 있다. 딸들은 목포에,.. 2016. 3. 1.
섬청년탐사대 이야기(1) 세상에서 가장 슬픈 과자 이름 착한 감자, 화이트 초코, 초코파이, 후레쉬베리, 오레오, 초코칩 쿠키, 몽쉘, 코카콜라, 빠다 코코넛, 홈런볼…. 목이 메었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과자들이었다. 1월 30일 팽목항 세월호 분향소에는 아직 뜯지 못한 과자들이 희생자들의 영정 앞에 놓여 있었다. 꽃다운 소년소녀들의 손은 즐겨 먹던 과자봉지를 뜯을 수 없다. 이들의 과자봉지 부스럭 거리는 소리를 영영 들을 수 없다. 세월호 희생자들의 시간은 팽목항에 멈춰 있었다. 얼굴 없는 액자를 바라보는데..그저 먹먹했다. "세월호 속에 아직 우리 OOO가 있습니다." 아직 차가운 바닷속에서 건져내지 못한 이들의 넋은 사진없는 액자로 걸려있었다. 한쪽에는 수천 마리의 노란 종이배가 떠나지 못한채 정박해 있고...그 옆에 다시 노란 종이배. 노란 리본. .. 2016.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