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은행2531 2022년도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등 일정 공고 2022년도 국가공무원 5·7·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다만, 시험일정은 시험관리 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될 경우 변경사항은 수정공고를 통해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 2022. 1. 12. 대학원생일기(18)네이버 카페 추천 대학원 입학을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네이버 카페를 추천한다.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 카페이다.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입학정보부터 지원후기, 면접후기, 기타 꿀팁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비슷한 고민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대학원 관련 정보를 얻기에 유리하다. https://cafe.naver.com/daehakwon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 : 네이버 카페 대학원 입학(석사,박사 등)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 공유의 장입니다. cafe.naver.com 2022. 1. 12. 북서울자이 폴라리스 입주자모집공고(2021.1.11) 서울 아파트 북서울자이 폴라리스 입주자모집공고(2021.1.11)입니다. ■ 본 아파트는 2021.11.16. 시행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이 적용됩니다. ■ 본 아파트의 최초 입주자모집공고일은 2022.01.11.입니다.(청약자격조건의 기간, 나이, 지역우선 등의 청약자격조건 판단기준일입니다.)해당 주택건설지역(서울특별시 강북구)은 「주택법」 제63조 및 제63조의2에 의한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지역으로서, 본 아파트는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2주택 이상 소유한 세대에 속한 분은 1순위자격에서 제외됩니다.(무주택 세대 또는 1주택을 소유한 세대에 속한 분만 1순위 청약 가능) ■ 해당 주택건설지역(서울특별시 강북구)은 「주택법」 제63조 및 제63조의2에 의한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지역으로서, 본 아.. 2022. 1. 11. 2022년도 정보통신 및 정보기술분야 국가자격 검정 시행 공고 2022년도 정보통신 및 정보기술분야 국가자격 검정 시행 공고입니다. 『국가기술자격법시행령 제15조 및 전파법시행령 제108조』의 규정에 따라 2022년도 국가자격 검정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2. 1. 11. 대학원생일기(17)논문 정리할 때 노션 notion 활용 논문을 쓸 때 논문 정리 프로그램을 알지 못해 '노션'을 활용했다. 메모작성 프로그램이라 왠지 논문을 쓸 때 자료보관용으로 적합할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물론 논문 서지 관리 프로그램으로는 엔드노크, 멘델레이라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있다. 석사 논문을 쓸대 이들 프로그램을 알지 못해 쓰진 못했다. 지금도 사용법을 잘 알지 못한다. (배워나야 할 것 같다.ㅜ,ㅜ) 대신 그 당시에 '노션'이 눈에 띄었을 뿐이다. 노션은 메모작성과 작업관리, 프로젝트 관리, 개인지식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메모작성 소프트웨어이다. 무료로도 많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유료로 전환해 더 큰 저장용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앱을 설치해서 스마트폰에서도 쓸 수 있고, 노트북에서 PC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웹에서 바로 .. 2022. 1. 11. 대학원생일기(16) ZOOM 수업 코로나가 만든 이색 풍경. 바로 '비대면 수업'이다. 비대면 수업은 물리적으로 이동해야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퇴근 후 지친 몸을 이끌고 학교에 가야하는 직장인들에게 나쁘지 않고 오히려 좋은 것 같다. 하지만, 대면 수업만의 장점을 누릴 수 없어 아쉽다. 우리가 아무리 카톡을 보내고, 전화를 해도, 직접 얼굴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을 때가 있지 않은가. 처음엔 비대면 수업이 어색했다. 무표정으로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왠지 모르게 웃음이 나왔다. 비슷한 표정을 짓고 있는 사람들. 열심히 수업을 하시는 교수님. 머리통 절반만 보이게 해놓거나, 집 천장만 보이게 화면 조정을 해놓은 사람들. 퇴근 후에 수업을 들으니 졸렸다. 어떻게든 눈을 감지 않으려고 치켜떴다. 수업을 함께 듣는 대학원생들의.. 2022. 1. 10. 대학원생일기(15) 박사논문 읽기, 롤모델 논문 찾기 논문을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는 많다. 대부분 학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해 대학원생 신분으로 논문 검색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료로 논문을 검색하고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다. 그중에서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가 학위논문을 검색하기 편리하다. 찾고자 하는 논문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하면 관련 논문을 노출해준다. 검색결과 좁혀보기 기능을 활용해 '박사학위' 논문만 추출할 수 있다. 석사학위 논문은 엄청 많은데, 박사학위 논문은 상대적으로 많이 적다. 그만큼 박사학위 소유자가 많이 없고, 박사과정 수료생이 상대적으로 더 많을 거라고 추측케 한다. 논문을 쓸 때 박사학위 논문을 충실히 읽어두면 좋다. 아무래도 박사학위 논문은 심사과정이 석사논문보다 훨씬 더 까다롭기 때문에, 완성도가 높.. 2022. 1. 10. 대학원생일기(14)논문 인쇄, 오타와의 전쟁 석사 논문 심사를 통과하고, 최종 수정까지 무사히 마무리했다면? 이제 인쇄만 남았다. 사실 뭔가 찝찝한 마음은 계속 남아있다. 수도 없이 내 논문을 읽었기 읽었기 때문에 이미 질려 있다. 그러면 오타가 보이지 않고, 이런 생각이 든다. 에라 모르겠다. 이젠 더이상 못 보겠다. 얼른 인쇄하자. 이런 생각이 든다면 이렇게 말해드리고 싶다. "그래도 오타 한번 더 보세요." 그러면 진짜 마지막이다 생각하고, 인쇄하기 전에 자신의 논문 오타를 발견하기에 눈에 불을 켤 것이다. 이제 됐어. 이런 생각이 든다면 다시 이렇게 말해드리고 싶다. "혹시 모르니 오타 한 번 더 보세요." 그래 진짜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한번 만 더 보자. 나도 모르게 속독의 경지에 오른다. 내가 쓴 논문이니 지겹도록 봤을 것이고, 그러다.. 2022. 1. 9. 대학원생일기(13)논문 디펜스 발표 자료 만들때 팁 석사논문 심사는 15분 내외의 논문 PPT 발표후, 심사위원 교수님들의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석사논문 심사를 앞두고 막막했다. '발표자료를 어떻게 만들어야하지.' 이런 고민이 있었다. 지도교수님께 여쭈었더니 이런 조언을 해주셨다. "서론과 이론적배경 부분은 간략하게 넘어가고 연구문제와 연구결과, 결론 중심으로 설명해주면 될 것 같아요." "핵심만 간추려서 만들어보세요." 이외에 다른 논문 쓰기 후기들을 살펴봤다. 여러 조언들을 합쳐서 실제 발표자료를 만들었다. 발표자료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연구동기, 서론, 이론적배경, 연구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연구의 의의 및 한계)으로 나누어 발표자료를 만들었다. 연구동기와 서론, 이론적배경은 약 25%의 비중으로 다뤘다. 나머지 75%는 연구과제.. 2022. 1. 8.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