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처럼 우리도 가슴답답할 때가 있지 않은가. 입맛도 없고, 흥도 안나고 혓바닥위에 그 무슨 산해진미를 올려놓은들 씁쓸할 때가 있지 않은가.
이백의 〈행로난行路難〉
인생길 고달파라
금잔의 미주는 한 말에 만금이요
옥반의 진미는 그 값이 만 전인데.
한 모금 한 입도 넘기기 어려워
잔도 젓가락도 다 던져버렸노라.
시퍼런 검을 빼어들고 뛰쳐나가
사방팔방 노려보는데 가슴만 막막하다.
황하를 건너자 했더니 얼음이 강을 막고
태항산을 오르려 했더니 눈이 산에 가득하네.
푸른 시내에 한가로이 낚시 드리웠던 사람이여
해 뜨는 곳으로 가는 배의 꿈이여!
인생길의 어려움이여, 어려움이여!
수많은 갈림길에서 나는 지금 어디 있는가!
큰바람이 일어 물결 높은 날이 반드시 오리니
구름 돛을 곧장 펴고 드넓은 창해를 넘어가리라.
金樽清酒斗十千, (금준청주두십천)
玉盤珍羞直萬錢。 (옥반진수치만전)
停杯投箸不能食, (정배투저불능식)
拔劍四顧心茫然。 (발검사고심망연)
欲渡黃河冰塞川, (욕도황하빙색천)
將登太行雪滿山。 (장등태항설만산)
閑來垂釣碧溪上, (한래수조벽계상)
忽復乘舟夢日邊。 (홀부승주몽일변)
行路難, 行路難, (행로난, 행로난)
多歧路, 今安在。 (다기로, 금안재)
長風破浪會有時, (장풍파랑회유시)
直掛雲帆濟滄海。 (직괘운범제창해)
Jīn zūn qīng jiǔ dǒu shí qiān,
yù pán zhēn xiū zhí wàn qián.
Tíng bēi tóu zhù bù néng shí,
bá jiàn sì gù xīn máng rán.
Yù dù Huáng hé bīng sāi chuān,
jiāng dēng Tài háng xuě mǎn shān.
Xián lái chuí diào bì xī shàng,
hū fù chéng zhōu mèng rì biān.
Xíng lù nán, xíng lù nán,
duō qí lù, jīn ān zài.
Cháng fēng pò làng huì yǒu shí,
zhí guà yún fān jì cāng hǎi
주석
1. 斗十千(두십천): 한 말이 만금이다. ‘십천十千’은 ‘만萬’.
2. 玉盤珍羞(옥반진수): 옥쟁반에 담긴 진수성찬
3. 直萬錢(치만전): ‘直’는 ‘値’와 같이 ‘가치’라는 말이다. ‘직’이 아니라 ‘치’로 읽는다. 음식 값이 만 전이나 된다는 말이다.
4. 停杯投箸(정배투저): 술잔을 멈추고 젓가락을 던지다. 술도 음식도 먹지 못한다는 말이다.
5. 拔劍四顧(발검사고): 칼을 빼어들고 사방을 바라보다.
6. 心茫然(심망연): 마음이 아득하다, 마음을 종잡을 수 없다.
7. 冰塞川(빙색천): 얼음이 강물의 흐름을 막아버리다. ‘塞’은 ‘막다’.
8. 太行(태항): 태항산. 중국 산서 지역에 위치한 매우 높은 산이다. ‘行’은 ‘행’이 아니라 ‘항’으로 읽는다.
9. 閑來垂釣(한래수조): 한가롭게 와서 낚시를 드리우다. 이 구절은 미끼도 없는 곧은 낚시를 하면서 자신을 써줄 군주를 기다리던 강태공姜太公의 일화를 인용한 것이다.
10. 乘舟夢日邊(승주몽일변): 배를 타고 태양 가까이 가는 꿈을 꾸다. 이 구절은 은나라의 유명한 재상 이윤伊尹이 임금에게 발탁되기 전에 배를 타고 해와 달이 있는 곳으로 가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11. 行路難(행로난): 길을 가는 어려움. 인생길의 어려움을 말한다.
12. 多歧路(다기로): 많은 갈림길
13. 今安在(금안재): 지금 어디에 있는가. ‘安’은 ‘편안하다’의 뜻이 아니라 ‘어디’라는 뜻의 의문사이다. 이 구절은 자신 의 현주소를 묻고 있는 말이다.
14. 長風破浪(장풍파랑): 긴 바람이 물결을 깨다. 큰바람이 불어와 높은 파도를 일으킨다는 말이다.
15. 會有時(회유시): 틀림없이 때가 올 것이다. ‘會’는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말이다. 여기서 ‘時’는 물결을 깨치고 큰바람이 불어오는 때로, 위기이지만 동시에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가리킨다. 아주 좋은 기회가 반드시 올 것이란 말이다.
16. 直掛雲帆(직괘운범): 곧장 구름같이 높은 돛을 걸다. ‘直’은 ‘바로’의 뜻으로 주저하지 않고 곧장 돛을 건다는 말이다.
17. 濟滄海(제창해): 넓은 바다를 건너가다. 자기 평생의 큰 꿈을 이룬다는 의미이다.
이백은 꿈을 이루기 위해 동분서주했으나 거듭되는 실패로 인해 고민이 깊어지고 감정이 격해졌다. 어느 날 이백의 처지를 잘 아는 친구가 그를 위로하기 위해 성대한 잔치를 열어주었다. 만금에 해당하는 술이 준비되었고, 만 전이나 되는 진미가 상에 가득 차려졌다. 술을 마다할 이백이 아니지 않은가. 한번 마시면 삼백 잔을 마시는 이백이 아닌가. 자신이 타고 온 준마도, 자신이 입고 온 천금의 가죽옷도 모조리 술로 바꿔서 한번 깊게 취하여 만고의 근심을 잊던 이백이 아니던가. 하지만 입으로 가져가려던 술잔은 그대로 멈춰버렸다. 술이 당기지 않는다.
술잔을 내려놓고 젓가락을 들었다. 입안이 바짝 마르고 모래라도 씹은 듯 까끌하다. 입맛이 없지만 나를 위로해주기 위해 잔치를 베푼 친구의 성의를 생각해서 억지로라도 좀 먹어야겠다. 그러나 음식이 도저히 넘어가지 않는다. 결국 젓가락을 던져버렸다. 가슴이 답답해 견딜 수가 없다. 자리를 박차고 밖으로 나와 검을 빼 들고 격하게 외친다.
“황하를 건너렸더니 얼음이 가로막는구나! 태항산에 오르렸더니 눈이 가득 내리는구나! 강물을 건너 꿈을 이룰 저 피안의 세계로 가는 길을 막는 자들이여! 이제 한 걸음이면 올라설 것만 같은 정상으로 가는 길을 막아서는 세상이여!”
- 밀리의 서재 책<김성곤의 한시 산책>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639)오징어게임 깐부 (0) | 2022.10.09 |
---|---|
독서노트(638)무인양품, 무지그램, 딕 포스베리, 박찬욱, 윤종신, 박진영 (0) | 2022.09.30 |
독서노트(636)언론 혐오 사회 (0) | 2022.09.27 |
독서노트(635)외로움, 이석원 소품집 (0) | 2022.09.25 |
독서노트(634)신서유기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