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719 2018 독서노트(59)국내 콘텐츠 창작스튜디오 MCN 국내 콘텐츠 창작스튜디오 MCN 트렌디한 미디어콘텐츠를 만드는 창작스튜디오 모음. 1.72초 TVhttp://www.facebook.com/72sectv 2. 와이낫미디어http://whynot.video 3.돌고래유괴단http://dolphiners.com 4. 모비딕http://www.mobidic.com/index.jsp 5. 스튜디오 룰루랄라http://tv.naver.com/studiolululala 6. 네오터치포인트http://neotouchpoint.com 7.모모콘http://www.facebook.com/MOMOCON.CORP 8.글랜스 tvhttp://www.glancetv.co.kr/glancetv/main/ 9.스페이스오디티http://www.facebook.com/spaceodd.. 2018. 5. 3. 2018 독서노트(58)면접 면접 / 오은 이름이 뭔가요?전공은 뭐였지요?고향에서 죽 자라났나요? 여기에 쓰여 있는 게 전부 사실입니까? 질문만 있고 답이 없는 곳에 다녀왔다 서 있어도앉아 있는 사람들보다 작았다 가장 많이 떠들었는데도듣는 사람들보다 귀가 아팠다 눈사람처럼 하나의 표정만 짓고 있었다낙엽처럼 하나의 방향만 갖고 있었다 삼십여 년 뒤,답이 안 나오는 공간에서정확히 똑같은 질문을 던지기 위해 녹지 않았다 순순히 떨어지지 않았다 ---------------------------------- 새록새록 돋아나는 면접의 추억.추억이라 부르기에는 아름답지 않은,치열한 순간. 이름하여 '면접'. 2018. 4. 23. 2018 독서노트(57) 견딜 수 없네 견딜 수 없네 / 정현종 갈수록, 일월(日月)이여,내 마음이 더 여리어져가는 8월을 견딜 수 없네.9월도 시월도견딜 수 없네흘러가는 것들을견딜 수 없네사람의 일들변화와 아픔들을견딜 수 없네.있다가 없는 것보이다 안 보이는 것견딜 수 없네.시간을 견딜 수 없네.시간의 모든 흔적들그림자들견딜 수 없네.모든 흔적은 상흔(傷痕)이니흐르고 변하는 것들이여 아프고 아픈 것들이여 ----------------------------- 비내리는 밤.라면의 유혹을 견딜 수 없네.흘러내리는 뱃살을 견딜 수 없네.나는. 흑흑. 2018. 4. 23. 2018 독서노트(56) 한강 시집 어느 늦은 저녁 나는 / 한강 어느늦은 저녁 나는흰 공기에 담긴 밥에서김이 피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있었다그때 알았다무엇인가 영원히 지나가버렸다고지금도 영원히지나가버리고 있다고 밥을 먹어야지 나는 밥을 먹었다 ———————- 지금 이 순간에도 무엇인가는 영영 떠나버렸다. 2018. 4. 22. 2018 독서노트(55)나는 고딩아빠다, 정덕재 시집 이 시집을 침대에서 읽다가 재미있어서 킥킥킥 웃었다. 고딩시절 추억과 아빠의 모습을 동시에 떠올리게하는 시집이었다. 정덕재 시인이 새 시집를 냈다. 지금은 대학생인 아들의 고딩시절 이야기와 함께 시인이 아들과 나눴던 대화들이 유머스럽고 유쾌한 시로 재탄생했다. 아빠가 시인이라면 어떤 느낌일까. 매일 시적 표현과 운율을 갖춘 잔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적어도 시 한편의 주인공이 되는 영광은 누릴 수 있을 것 같다. 아들의 입장에서 시인인 아빠가 자신의 고딩시절이야기를 시로 써준다는 건 특별한 경험일 것 같다. 나는 아버지가 잔소리를 할 때마다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보냈다. 만약 아버지가 잔소리를 한편의 시를 써주셨으면 곱씹어서 읽어봤을텐데 말이다. 시인의 아들은 아버지가 쓰는 자신의 고딩시절 이.. 2018. 3. 25. 2018 독서노트(54)한국전쟁 당시 섯알오름 양민학살터 "이것 좀 보고가세요!" 백조일손 유족회 고문 양신하 씨가 나를 붙잡아 어떤 사진을 보여준다. 사진에는 일제가 제주도민을 강제동원해 지은 탄약고의 모습이 담겨있었다. 이곳은 1950년 6·25 발발 시 제주도민 학살 장소이기도 하다. 단단한 시멘트로 발라놓은듯한 탄약고의 육중한 모습. 해방이후 미군은 이 탄약고를 폭파시켜버렸다. 하지만 1950년 한국전쟁 발발하자 치안국의 불법 예비검속으로 이곳에서 자행된 제주도민 학살사건은 오늘날까지 제주도의 크나큰 아픔으로 깊게 새겨져있었다. 안내판에는 1950년 7월 16일 당시 해병모슬포부대 5중대 2소대 분대원이 이곳에서 민간인을 학살했고, 이어 8월 20일 해병3대대 분대장급이상 하사권들이 민간인을 학살했다고 적혀 있었다. GMC 트럭에 실려온 민간인들은 이곳.. 2018. 3. 24. 2018 독서노트(53)제주4·3평화공원, 가슴 아픈 역사와 마주하다 제주방문의해 제주도 초청 팸투어 1일차.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았다. 제주 4·3 평화공원은 4·3 사건으로 인한 민간인학살과 제주도민의 처절한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기 위한 평화·인원 기념공원이다. 제주 4·3 사건“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출처 : 제주 4·3연구소 홈페이지- 당시의 아픔과 역사의 현장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는 이곳. 전시관 곳곳을 둘러보면 비극의 역사를 온몸으로 헤쳐온 제.. 2018. 3. 24. 2018 독서노트(52)제주도의 특별한 도시락, 차롱치유밥상 제주방문의해 제주도초청 팸투어 2일차. 제주도만의 특별한 도시락, 차롱치유밥상이 참 인상깊었다. 보통 차롱도시락으로 불린다. 차롱도시락은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납작하게 만든 제주 전통그릇 차롱에 제주도 향토음식을 담은 도시락이다. 제주도 치유마을(호근동마을회)이 개발한 도시락 관광상품으로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단다. 둥그런 차롱 안에 버섯, 전, 주먹밥, 계란말이, 무침 등 맛깔스런 반찬들이 담겨있다. 절로 건강해질 것 같은 반찬으로 구성됐다. 도시락의 뚜겅을 열어 안에 있는 반찬을 옮겨담고 먹으면 된다. 도시락을 먹은 장소도 일품. 멀리 한라산 정상과 산방산이 보이고, 푸른 제주도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곳. 바로 드라마 과 의 촬영지로도 알려진 송악산이다. 좀 올라가 엉덩이를 깔고 앉아 차롱 도시.. 2018. 3. 24. 2018 독서노트(51)제주4·3유적지 큰 넓궤, 동광리 주민 은신 동굴 직접 들어가보니 "제주 4·3 당시 이런 캄캄한 동굴에 마을 사람들이 어떻게 숨어지냈을까?""들어갈때 몸이 캔처럼 찌그러지는 느낌이여..." 동광리 마을 동광목장 안 종나무 밑 작은 용암동굴 입구. 제주4·3 당시 지금보다 더 많은 나무와 풀로 우거졌다는 이곳. 나무 밑에 동굴이 있다는 걸 그 누가 알 수 있었을까. 그 누구라도 이곳을 쉽게 발견할 수 없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곳을 잘아는 마을사람들이었기때문에 가능했으리라. 그 작은동굴을 제주도에서는 큰넓궤(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산 90번지 일대)라고 부른다. 총 길이 180여m에 이르는 큰 넓궤는 제주 4·3 유적지다. 1948년 11월 중순 초토화 작전으로 토벌대가 마을 사람들을 마구 학살하기 시작할 때 마을 주민 120여명이 숨어 지낸 작은 동굴이다. 어린이나.. 2018. 3. 24.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