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은행2513 [직딩라이프]퇴근 후 하는 것 퇴근 후 하는 것. 지하철을 타고 집에 간다. 버스를 갈아탄다. 뚜벅뚜벅 걷는다. 집 문을 열고 들어간다. 침대를 발견한다. 옷을 벗는다. 핸드폰을 만지작 거린다. 디비 누워서. TV를 켠다. 이불속에 파묻힌다. 좀 보다가 끈다. 디비 잔다. 불 끄러 가는 1m가 귀찮다. 디비 잔다. 쿨쿨쿨. 눈을 뜬다. 아오 씨. 다음 날이다. 퇴근 후 시간은 빛의 속도. 2015. 4. 14. 퇴근이 가까워 올때 퇴근은 '학교 종이 땡땡땡'이다. 아싸, 소리가 절로 나오니까. 2015. 4. 14. 인연 '인연'은 누구의 말처럼 정말 하늘에 날리는 '연'인가 보다.실을 끊어 먹고 연을 날려먹기 여러번.인연을 날려먹기도 여러번.인연은 바람처럼 스쳐가는 것.비록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이보다 더 인연을 설명해주는 것이 또있을까.인연은 소중한 것.이도 비록 평범한 표현이지만인연을 이처럼 잘 표현해주는 말이 또 있을까.인연을 찾는다.우리는 누구나.잃어버린 인연을 되찾기도, 새로운 인연을 찾기도.둘 다 어렵다. 봄인데 아직 바람이 차다. 2015. 3. 11. 꽃샘추위 바람이 불고 춥다. 봄이 냉가슴을 앓고 있네. 꽃망울을 어떻게 터트릴까하는 고민일까. 바람이 봄을 물어 뜯는 것 같다. 그러지말고 부드럽게 물어보지. 새싹과 꽂잎이 세상에 나올 준비는 잘 되고 있는가. 봄을 시샘하는 추위. 꽃을 시샘하는 추위. 바람이 불고 추워. 고향 정읍에는 한때 눈발이 휘날렸다고 한다. 2015. 3. 10. 글쓰는 것 하얀 사막위를 걷는 것. 펜없이 모래바람을 맞으며 걷는 것. 그럼에도 한 마리의 낙타처럼 뚜벅뚜벅 발자국을 남기는 것. 발자국은 다름 아닌 상념, 문장, 단어. 2015. 3. 5.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독서노트 제주도. 학창 시절 수학여행지다. 그때 뭘봤는지 기억은 잘 안난다. 배를 타고 갔고, 섬에 내렸고, 한라산 언저리에서 맴돌았지. 결혼하면 신혼여행을 위해 제주도에 갈지도. 그렇게 제주도라는 아름다운 섬은 두루뭉실한 존재였다. 그러나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제주도 편'을 읽고 든 생각은. 한 팔 뻗쳐. "제주도야~!! 미안하다~!!!" 다랑쉬오름, 용천동굴, 만장굴, 용눈이오름, 해녀, 돌하르방.... 제주도가 간직한 자연과 사람, 그 풍성한 이야기에 매료되고 말았다. 특히 2007년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제주도의 화산섬과 용암동굴'의 이야기는 제주도의 가치를 새삼 일깨워줬다. 다음은 세계자연유산 등재에 앞서 세계자연보전연명이 작성한 제주도 실사보고서중 일부를 옮긴 것이다. "제주도는 120만 년.. 2015. 1. 31.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독서노트 책 박웅현 씨의 창의적인 사고와 날카로운 안목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다음은 책속에 등장했던 인상깊었던 글귀를 무작위로 옮겨 적은 것이다. -------------------------------------------------------------------------------------------------------------------------- 1. 도종환의 시 '봉숭아' 우리가 저문 여름 뜨락에 엷은 꽃잎으로 만났다가 네가 내 살 속에, 내가 네 꽃잎 속에 서로 붉게 몸을 섞었다는 이유만으로 열에 열 손가락 핏물이 들어 네가 만지고 간 가슴마다 열에 열 손가락 핏물자국이 박혀 사랑아 너는 이리 오래 지워지지 않는 것이냐 그리움도 손끝마다 핏물이 배어 사랑아 너는 아리고 아린 상처로 남아 .. 2015. 1. 21. 일터에서 내가 일하는 일터에는 '웃음이 보약이다'라는 글귀가 써 있다. 볼 때마다 부모님에게는 자식이 주는 '용돈'과 '자식아 잘되는 것'이 보약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고개를 든다. 복도에는 '송백상취(松栢相翠)'라는 사자성어가 액자에 담겨있다. 태어난 환경과 여건은 달라도 잘 어울려 조화를이루면서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라는 뜻이다. 조직생활하면서 한번쯤 음미해볼 만하다. 내가 일하는 일터에는 직원말고도 다양한 사람들이 오고간다. 목요일마다 '복권 사세요'라고 외치며 들어오시던 할머니는 어느 날부터인가 나오지 않으신다. 꽤 됐다. 목요일의 인기스타셨는데...... 아침일찍 직원들의 책상으로 건강식품을 배달하는 아주머니들은 언제나 낭랑한 목소리로 인사를 하신다. 인사를 하는 방법을 이분들한테 배우곤 한다. 또 간혹 .. 2015. 1. 20. 부모님의 행복은 한때 자녀 성적순이었다 인생살이가 고추보다 맵다는디... 살다보면 된장같은 일도 많고..된~~장. 그런것이지 인생은 된장같은 일에 찍어 먹는거 아닐랑가. 소주한잔 겻들이면 거참 살살녹지. 소주를 먹으면 마음에도 혓바닥이 있는거 같여 쓰라릴때도 있고 애릴때도 있고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지만 어머니의 행복은 아들 성적순이었지. 그려 맞어.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지만 아버지의 행복은 누나 성적순이었지. 그려 맞어. 맞는거 같어. 아님 말고. 내 인생의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부모님의 행복은 나와 누나의 학교성적에 따라 달라졌당게. 오마니는 그랬다. "우리아들 학교에서 전교 2등해가지고, 교무실로 초대받아서 녹차 마실때가 그렇게 좋았는디." 아버지는 그랬다. "나는 니가 중학교때 공부좀 하길래 연고대나 서울대까지 갈 줄 알았다..흐.. 2014. 9. 11. 이전 1 ···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