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1

외국작가들의 글쓰기 습관, 평범하거나 독특하거나 보통 외국작가들은 어떤 글쓰기 습관을 가지고 있을까요? 글을 잘쓰고 싶은 1인으로서 많이 궁금했습니다. www.tomslatin.com 이라는 외국 블로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길래 한번 해석해 보았습니다. 물론 부족한 영어실력이어서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만, 공부하는 마음으로(?) 우리말로 옮겨보았습니다. 작가들마다 습관도 다양하고, 간혹 이해할 수 없는 버릇도 가지고 있더군요.^^여러분은 어떤 글쓰기 습관을 가지고 있나요? 1. Stephen King writes 10 pages per day, every day minimum. 스티븐 킹은 하루에 10페이지씩 글을 쓴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2. Anthony Trollope wrote 250 words every 15 minutes, though.. 2011. 7. 27.
e-book의 속살 들여 볼 6가지 영어자료네요^^; 심심할 때 한 번씩 들어가보니 http://www.slideshare.net/에 좋은 자료들이 많더군요. 새삼 깨닫습니다. 이번엔 e-book에 관한 자료입니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보기가 거시기합니다. 제가 능력이 안되어서 그냥 눈으로 훑기만 했습니다. 아는 영어 단어들이 얼마안되는지라, 그냥 느낌상 괜찮은 자료같아서 올려봅니다.^^; bookshelf (36) by 정호씨 1.EPUB3.0でつくる電子雑誌の可能性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Youji Sakai 2.The Ultimate Guide to Creating eBooks - The eBook eBook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Joe Pulizzi 3.eBook 101: Designing f.. 2011. 7. 25.
나무에 관련된 아름다운 단어들과 만나다, 강판권의 <나무열전> 강판권의 책. 책을 참 잘 골랐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나무의 종류와 특성을 다룬 식물학책이 아니다. 나무와 관련된 한자와 역사에 대한 이야기다. 책을 쓰기까지 자료수집에 심혈을 기울였을 저자의 노고가 느껴진다. 한 장 한 장 내용이 알차다. 나무에 관련된 용어가 이렇게 많았는가하고 놀랄정도다. 이 책을 읽다보면 각 종 나무들의 한자어원에서부터 겉모습 그리고 그에 얽힌 옛날 역사를 동시에 알 수 있다. 그야말로 일거삼득이다. 게다가 우리나라에 이렇게 다양한 나무가 살고 있었는가하고 새삼 깨닫는다. 나무의 뿌리를 한자로 근(根)이라고 합니다. 근자는 중국 진나라를 세운 진시황제시대에 만든 글자입니다. 이 글자는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나무가 바람에 쓰러지지 않고 하늘을 .. 2011. 7. 24.
책은 저마다 우러나오는 맛과 향기가 다르다 나는 책을 천천히 마신다. 책은 저마다 우러나오는 맛과 향기가 다르다. 책은 천천히 여유롭게 음미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 2011. 7. 20.
김상봉, 박명림의 책<다음 국가를 말한다> 김상봉, 박명림씨가 공동집필한 편지글 형식의 책는 내 청춘에 이런 질문을 던져준다. '과연 어떤 국가가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 그런데 사실 내게 있어 '국가'라는 단어가 크게 와닿지 않는다. 과연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나를 혹은 우리들을 행복하게 해줬는지 잘 모르겠다. '국가'라는 단어는 낯간지럽다. '조국'이라는 단어는 느끼하기까지 하다. 국가를 위해 한 몸을 불살랐던 적이 없어서일까? 나라를 위해 싸워햐 하는 일제시대와 6.25 전쟁을 겪어보지 못해서일까? 큰일났다. '국가'라는 단어가 주는 절박함이 그다지 내겐 없는 것 같다. 간혹 국가대표 축구팀이 애국가를 부르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기는 한다.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길 때는 무한정 때리고 싶을 때도 있다. 중국이 동북공정.. 2011. 7. 18.
인간에게 생명사랑의 본능이 있다고? 에드워드 윌슨의 책<바이오필리아>  에드워드 윌슨의 책을 읽는 일은 언제나 즐겁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생명에 대한 그의 통찰력을 읽어 내려가노라면 생명체에 대한 애정이 싹트기 시작한다. 이번에 읽은 그의 책는 인간에게는 '생명사랑'의 본능이 있음을 말해 준다. 물론 지금까지 과학적인 증거는 많이 없었다. 그럼에도 윌슨은 자신의 과학자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인간의 '생명사랑' 본능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한 예로 인간의 뱀에 대한 경외심과 숭배심을 든다. 우리는 평소에 뱀을 무서워하고 징그러워하지만 한편으로는 뱀을 숭상하는 문화도 함께 일궈왔다. 윌슨의 말에 따르면 모든 문명에서 뱀은 신비하게 미화되어 왔으며, 호피족 같은 경우 물뱀 팔루루콘이 자비심 많으면서도 무서운 신 같은 존재라고 알고 있다고 한다. 위압적인 뱀의 이미지가 나오는 .. 2011. 7. 17.
흙을 먹여 살리는 생명체들의 이야기, 책<흙을 살리는 위대한 생명들> 나는 실은 이들의 삶을 딛고 서 있는 것이다. 바로 땅속에서 살아가면서 흙을 비옥하게 만들어주는 다음 생명체들의 삶을 말이다. 내가 무심코 걷고있는 땅, 그리고 발바닥 아래에는 수많은 생명체들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 돌좀과 좀, 집게 벌레, 바퀴, 곱등이, 땅강아지, 메뚜기, 흰개미, 총채벌레, 딱부리긴노린재, 땅노린재, 진딧물, 뿌리혹벌레, 깍지벌레,매미와 리피케리드딱정벌레, 길앞잡이, 개미사돈, 이끼벌레, 고목둥근벌레, 프틸로닥틸리드딱정벌레, 발광벌레, 병대벌레, 쇠똥구리, 송장벌레, 무늬송장벌레, 풍뎅이붙이, 벗섯살이 벌레, 밑들이 등등. 흙속에서 살아가는 위대한 생명체들의 이름이다. 거의 처음 들어 본 낯선 이름이었다. 역사를 움직인 위대한 위인들의 이름만 알았지, 정작 이들의 이름은 모르고.. 2011. 7. 15.
이별의 감정을 헤짚는 책, 한귀은의 <이별리뷰> 장마철이라 그런지 빗방울들의 폭격이 무섭다. 고시원의 쥐알만한 창문밖으로 비 내리는 모습을 구경하다가 이 책 한권을 펼쳤다. 하얀색 배경에 흑백사진을 인쇄한 표지가 매혹적이다.이 책을 읽는다기보다는 이 책을 만진다(?)는 생각이 들 정도니 말이다. 책 제목이 빗소리와 어울리는 '이별리뷰'다. 이별의 오만 감정과 감각들을 책을 통해 리뷰하는 형식을 취하는 이 독특한 책. 저자인 한귀은씨가 자신이 읽었던 책들의 구절을 짚어가며 이별의 거의 모든 것을 되새김질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별의 경험이 많지 않기에 이 책 속의 모든 이별들을 이해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책을 읽다가 '사랑'은 '이별'을 임신(?)하고 있는 임산부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사랑은 생명체가 발을 톡톡 차듯 신기하다가도, '이별'이 한 연인.. 2011. 7. 13.
평소에 잘 못쓰고 있는 표현들 10가지 다음 글은 배상문씨의 책 에서 그대로 발췌했습니다. 이 책 마지막 부분에는 우리가 평소에 잘 못 쓰고 있는 표현이나 단어들이 소개되어 있는데요. 읽어보니까 저도 그동안 잘 못 쓰고 있었네요. 우리 말은 참 어렵다는 것을 느끼면서 몇 가지를 기록해 보려고 합니다. 터울 '터울'은 '한 어머니가 낳은 자식 간의 나이'차를 말한다. 그런데 흔히 이 말을 그냥 '나이 차'정도로 잘 못 쓰고 있다. "남편과 나는 세 살 터울이다." "선배와 나는 한 살 터울이다."처럼 말이다. 그러나 '터울'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나면, 위의 말들이 상당히 묘한 어감을 띈다는 걸 알게 된다. 걸맞는, 알맞는 -> 걸맞은, 알맞은 '걸맞다'와 '알맞다'는 형용사다. 형용사는 '-는'을 붙여 진행형으로 쓸 수 없다. '걸맞는'과 '.. 2011.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