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10

[대전독서모임 9월 선정도서]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책장 넘기듯 가을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9월 21일 월요일에 열리는 독서모임 '산책'의 선정도서는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입니다. 저자의 독특한 빵집 경영 이야기를 통해 삶과 일의 균형, 진정한 자기 일 찾기, 노동의 가치, 자본주의의 모순 등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마침 9월은 추석 명절을 품고 있는데요. 일을 하며 가족을 먹어살리랴, 자신의 삶을 지탱하랴, 공부하랴 바쁜 분들! 잠시 짬을 내어 저희 독서모임에 산책나오세요. ^^ 이날은 맛있는 빵과 함께 독서모임 산책을 진행해 볼게요~~ 일시 : 9월 21일(월) 오후 7시 30분 장소 :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회비 : 5,000원 (커피와 다과)참가방법 : 010-7161-팔오이삼 (이름, 연령때, 좋아하는 책 .. 2015. 8. 31.
[후기]대전독서모임 8월 어른을 일깨우는 아이들의 위대한 질문 ▲17일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열린 독서모임 '산책' 이날 나는 함박 웃음을 지었다. 허허허. 사람들이 많이 왔기 때문이다. 허허허. 8월 17일 독서모임 산책이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열렸다. 이날 모임을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정리했다. Q. 이번 독서모임에 와인잔과 와인이 등장한 이유는? 책 읽으며 술먹어도 되는겨? 독서모임 산책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15년 독서동아리 활동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지원금을 받게 됐다는 기쁜 소식을 독서모임 회원들과 함께 나누는 파티를 열었다. 이날 이상은 라푸마둔산점 대표님과 오카리니스트 조은주 쌤이 와인과 맛있는 과일로 예쁜 잔칫상을 차려주셨다. 무한 감동이었다. 마음만큼은 뱃살을 출렁이면서.. 2015. 8. 20.
[후기]박범신 주름 자유낭독회, 꽃잎처럼 붉던 토요일 오후, 청년작가의 꽃무늬 신발은 에로티시즘의 꽃잎을 흩날리고 있었다. 작가 박범신이 지난 7월 11일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열린 ‘주름 자유낭독회’를 찾았다. “주름을 어떤 작품이냐고 묻는다면 에로티시즘의 생성과 성장과 그 소멸에 관한 소설이라 말해주고 싶었어요.” 작가는 1999년 발표한 소설 ‘침묵의 집’을 두 번에 걸쳐 개작해 ‘주름’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날 주름의 문장들은 300여 명 청중들의 마음에 불같은 혀를 들이밀었다. 김진영과 천예린 사이에서 “에로티시즘은 금기된 것에 대한 욕망입니다.” 주름은 50대 중반의 주인공 김진영이 시인이자 화가인 천예린을 만나 짓눌려있던 삶의 욕망을 해방시키기는 이야기다. 소설에 등장하는 성행위 묘사는 온몸의 성감대를 핥아 버릴 기세로 .. 2015. 8. 13.
대전독서모임 산책 동아리 활동지원사업 선정 에헤라디야, 경사났네. 경사났어. 독서모임 '산책'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15년 독서동아리 활동지원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소정의 지원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지원금은 도서 구입비, 저자 초청비, 영화 및 공연 관람료(원작 도서가 있을 경우)로 쓸 수 있다고 하네요. 다 여러분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왠지 날라갈 것 같은 기분이네요. 8월 독서모임은 17일 월요일 오후 7시 30분 라푸마둔산점 2층 여행문화센터 산책에서 열립니다. 선정도서는 '어른을 일깨우는 아이들의 위대한 질문'입니다. 2015. 8. 12.
[대전독서모임]8월 선정도서 어른들을 일깨우는 아이들의 위대한 질문 8월은 한 번 어린이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걸로~~그리고 휴가 갔다와서 독서모임에 산책 나오는 걸로~~8월 대전독서모임 산책의 선정도서는 제목이 살짝 기네요. ㅋㅋ 8월의 선정도서는 제마 엘윈 해리스의 '어른을 일깨우는 아이들의 위대한 질문'입니다.부산 인디고서원 대표님이 추천한 책이라길래 유심히 봤지요. 무슨 책읽까 관련 정보를 뒤적거리는데 한 번 같이 읽으면 좋겠더라구요.어린이들의 기발한 질문에 세계 석학들이 답변해 준 내용을 묶은 책이에요.책 읽기 힘든 더운 여름철, 아주 어렵지도 않을 것 같고 뜻밖의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도 한때 엉뚱한 질문을 던졌던 어린이였죠 ㅎㅎ 대전독서모임 산책은 8월 17일(월)예정입니다. 장소와 시간은 라푸마둔산점 2층 오후 7시 30분! .. 2015. 7. 30.
비야 비야 비야 내리거든오마니 눈물샘엔 고이지 마라라오마니 마음 한 구석은 늘 젖어있다 비야 내리거든아부지 쪼그라든 뒷모습을 젖게하지 마라라아버지 뒷모습은 울고 있다 비야 너도 젖겠다얼른 집에 들어가라밤거리를 배회하지 말고 2015. 7. 27.
여름 여름이 내 등짝에 침을 흘리며퍼질러 잔다. 졸라 덥다.볼을 부비다가 내 때를 먹을까 걱정.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지만옷깃만 스쳐도 때가 나올 것 같은 날이다.비가 내리다 잠시 그쳤다.우산을 접는다.이 순간 삶을 접는 사람도 있겠지.무심코. 종이접기, 우산접기, 삶을접기. 그냥 잡생각 끄적인다. 2015. 7. 23.
자취방 냉장고 오늘도 냉가슴 앓고 있다.나는 이빨도 없어, 충지도 없어. 나의 고민은 김치통. 내 주인이 안먹고 있네.곰팡이 슬겠다 이눔아. 2015. 7. 20.
박범신 장편소설 <주름>, 내가 밑줄 그은 문장 "이 소설 을 단순히 부도덕한 러브 스토리로만 읽지 않기를 바란다. 나는 시간의 주름살이 우리의 실존을 어떻게 감금하는지 진술했고, 그것에 속절없이 훼손당하면서도 결코 무릎 꿇지 않고 끝까지 반역하다 처형된 한 존재의 역동적인 내면 풍경을 가차 없이 기록했다고 여긴다. 시간은 우리 모두에게 언제나 단두대를 준비해두고 있다." - 박범신 작가의 말- 작가 박범신이 스스로 참 추억이 많은 소설이라 밝혔던, 장편소설 '주름'을 읽었다. 이 소설은 작가가 1999년 발표한 장편소설 '침묵의 집'을 두 번에 걸쳐 분량을 줄이고, 표현을 다듬어 개작한 작품이다.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작가가 말한 '시간의 주름살'이란 무엇일까. 시간의 피부가 쇠.. 2015.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