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10 에드워드 권 강연, 쉐프로서의 음식철학 지난 24일, 제1회 대한민국 평생학습박람회에서 쉐프 에드워드 권의 대담콘서트가 있었습니다. 방송에서의 까칠하던 모습만 보다가 직접 강연장에서 만나보니 그 느낌이 또 달랐는데요. 방송에서는 좀 무서웠는데 직접 보니 직설적이고 솔직한 화법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모습이 기억에 남고, 쉐프로서의 진심과 철학이 짙게 베어 있는 이야기에서 프로다운 면모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음식에 대한 그의 철학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의 말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5,000원짜리 설렁탕 집을 가면 5천원짜리 설렁탕이 되게 싸다고 생각합니다.12,000원짜리 설렁탕 집 가면 되게 명품이라고 생각하시고, 저 집이 맛집이라고 이야기하고 블로그에 글들이 많이 올라옵니다. 음식은 가격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가치로 판단.. 2012. 11. 30. 취업판타지(2) - 동시합격 취업준비를 하다보면 누구나 자신의 가까운 미래, 긍정적인 미래를 생각하며 전의(?)를 다진다. 바램과 현실사이에는 많은 갭이 있지만 그래도 꿈을 꾼다. 다음 이야기는 그런 바램과 현실을 대비해서 담아 본 것이다 취업준비를 하다보면 흔히 하게되는 상상이 있다. '6개 기업 동시 합격! 골라가면 되는 거야! ' 아싸. 골라 가자.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대기업 동시합격한 000씨...'라는 제목의 신문기사에 그저 한 숨을 쉴 뿐. . 2012. 11. 29. 취업판타지(1) - 취업턱 취업준비를 하다보면 누구나 자신의 가까운 미래, 긍정적인 미래를 생각하며 전의(?)를 다진다. 바램과 현실사이에는 많은 갭이 있지만 그래도 꿈을 꾼다. 다음 이야기는 그런 바램과 현실을 대비해서 담아 본 것이다. '임마, 취업 되면 한 턱 크게 쏴라.''알았다. 너도 임마. 크크크' 취업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친구들과 취업턱 이야기를 많이 한다.취업턱은 취업이 먼저 되는 사람들이 술이나 음식 같은 것들을 산다는 뜻이다.누구나 취업준비할 때는 자신있게 말한다. '취업되면 내가 한턱 쏠게. 이곳에서 이것을 먹고 저기서 저것을 먹고 신나게 놀아보자.' 그런 미래를 상상하니 말하는 자기도 기분좋고, 듣는 상대방도 덩덜아 기분좋다. 어찌 되었건 뭘 사준다는 약속은 좋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현실은 호락호락 하지 않다.. 2012. 11. 28. 대입재수이야기(12) - 재수시절과 故 김광석의 말들 그리고 청춘 다음 글은 어찌어찌하다가 수능을 세 번 보았던 내 청춘의 이야기다. 성공담이라기보다는 실패담 혹은 에피소드에 가깝다. 재수, 삼수 시절에 故 김광석의 노래가 어디선가 흘러 나오면 꽤 쓸쓸하고 우울했던 기억이 난다. 노래가사는 둘째치고 그 노래의 분위기가 무척 우울했기 때문이다. 공부하다말고 멍하니 그의 노래를 들은 적도 많았다. 어렸을 때라 그 노래가사의 의미들은 전부 깨닫지 못했지만 이상하게 마음이 끌렸다. 재수할 때나 삼수할 때의 시간은 10대 때의 거창했던 꿈과 20대의 도전 둘 중 어느 사이에도 끼지 못해 어정쩡한 시간들이었다. '꿈'이라는 달달한 껌에서는 단물이 쪽쪽 빠지고 있었고, '20대는 뭐든지 도전할 수 있다'는 데 재수, 삼수가 과연 '도전'에 속하는 것인지도 의심스러웠다. 당시 '재수.. 2012. 11. 27. 대입재수이야기(11) - 재수실패후 열등감에서 벗어나기 다음 글은 어찌어찌하다가 수능을 세 번 보았던 내 청춘의 이야기다. 성공담이라기보다는 실패담 혹은 에피소드에 가깝다. 재수와 삼수시절은 지나고 나니 별 것 아니었다. 남들보다 좀 늦었다고 인생이 파탄난 것 도 아니었고, 수능점수가 좀 못나왔다고 해서 훗날 인생의 패배자가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당시에는 하루 하루 무척이나 마음을 졸였던 기억이 난다. 스무살의 심장과 경험치로 감당하기에는 꽤 괴로운 시간들이었다. 수능점수와 대학입시결과에 스무살의 거의 모든 것이 혹은 앞으로의 모든 것이 무너질 수도 있다고 느꼈었다. 첫 단추를 잘 못 끼웠으니 이러다 인생꼬이는거 아닌가하는 괜한 걱정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무척 외로웠다. 최근 인터넷에 올라오는 글중에 재수실패를 했다는 이야기가 많이 .. 2012. 11. 26. [2013 티스토리 사진공모전] - 가을의 끝을 붙잡고 [2013 티스토리 사진공모전] - 가을의 끝을 붙잡고 가을 혹은 가을의 끝자락에서 담은 풍경들. 2012. 11. 24. 오주석의 책 <옛 그림읽기의 즐거움 1>에 풍덩 "단결! 외박 다녀오겠습니다." 2006년 군복무 시절,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낭랑하고 밝았다. '룰룰라라' 휘파람 불며 부대에서 버스를 타고 나와 청량리역에서 내렸다. 나올 때는 즐거웠지만 막상 자유시간이 주어지니 막막했다. '뭐 하고 논담..혼자서...' 선, 후임들과 외박 일정이 맞지 않아 낮에는 영락없이 홀로 지내야 하는 시간이었다. 친구들도 대학생이라 수업중이었다. 문득 국립중앙박물관을 태어나서 한번도 가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스쳤다. '그래, 거기나 가자!' 군복을 입고, 일병 모자를 눌러 쓴 채 박물관에 들어갔다. 군인이면 조금 할인혜택이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그 곳에서 운명의 그림 한 점과 만났다. 바로 추사 김정희의 1844년 작품 다. '이게 그 유명한 세한도란 말인가...'하며 한 동.. 2012. 11. 24. 대입재수이야기(10) - 재수실패후 깨달은 것들 다음 글은 어찌어찌하다가 수능을 세 번 보았던 내 청춘의 이야기다. 성공담이라기보다는 실패담 혹은 에피소드에 가깝다. 2003수능 -> 대학교 입학 -> 1학년 1학기 지나고 여름에 자퇴 ->2004수능 -> 3개 대학 탈락 ->2005 수능 -> 다시 대학 입학 수 년전 나의 대입재수는 실패였다. '고등학교때 열심히 공부할 걸'하고 후회도 많이 했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었지만, 당시엔 정신적으로 무척 힘든 시간들이었다. 밥맛도 없고, 친구들과 놀아도 흥이 안나고. 부모님께는 죄송하고, 나 자신에게는 참으로 미안하고. 돌이켜 보면 실패할만 했다. 사람은 '내 미래는 더욱 나아질꺼야'하고 섣불리 자신의 미래에 대해 대책없는 낙관을 한다. 스무살의 나역시 그랬다. 재수에 대한 치밀한 계획을 세우지 않.. 2012. 11. 23. 팔다리 없어도 난 할 수 있어, 구족화가 앨리슨 래퍼의 메시지 팔다리 없어도 난 할 수 있어, 구족화가 앨리슨 래퍼의 메시지- 은지성씨의 책를 읽고- 1. 마음의 휴식처같은 책,구족화가 앨리슨 래퍼의 삶을 보며 내 삶을 반성해 보다 역경을 극복하고 큰 성취를 이룬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감동을 준다. 책를 읽으며 만난 한 여성 구족화가의 이야기 역시 그랬다. 1965년 한 여자아이가 힘찬 울음을 터트리며 세상에 태어났다. 그 여자아이의 이름은 앨리슨 래퍼. 여느 아기와 다름없는 탄생이었지만 그 여자 아이의 시작은 순탄치 않았다. 태어나고 나서 평생 팔과 다리가 자라지 않는 해표지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것이다. 절망에 빠진 앨리슨 래퍼의 부모는 결국 그녀를 고아원에 맡겼고, 래퍼는 고아원아이들의 수많은 놀림속에 괴롭고 고독한 시간들을 보내며 성장했다. ▲ 구족화가 앨.. 2012. 11. 22. 이전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