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719

안치운 산문<그리움으로 걷는 옛길>, 눈부신 초록의 오지 안치운 산문집을 그리움과 설렘, 걱정으로 읽었다. 먼저 책에 나오는 아름다운 오지와 자연의 옛길이 지금 이 순간 온전히 남아있을까하는 걱정이 들었다. 아직 가보지 못한 옛길에 처음 발을 내딛는 설렘도 있었다. 책을 덮는 순간 옛 길들이 하나하나 그리웠다. 마치 오래전 옛길을 다녀 오기라도 한 듯이. 이 책을 읽는 것은 '걷기'와 비슷하다. 한 장 한 장 천천히 내딛으며 사유가 벌이는 축제를 즐길 수 있으므로. 길을 걷는 다는 것은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일이다. 발을 옮기지 않으면 내 위치는 한 치도 변하지 않는다. 같은 동작을 수없이 해도 자기기만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발걸음이다. 걷는 것은 자발적인 움직임이다. 걸음은 최적의 즐거움을 안겨준다. 자기 자신이 된다는 추상적인 느낌을 걸으면서 구체적으로.. 2016. 6. 6.
윤대녕의 단편소설<찔레꽃 기념관> 밑줄 "옛날 가난한 선비들은 집 둘레에 찔레꽃을 심어 울타리를 삼았어요. 왜 보릿고개란 말 있잖아요. 그때가 바로 찔레꽃이 필 무렵인데 가난한 선비들은 먹을 게 없어 나물이나 피죽으로 겨우 연명하며 살았죠. 그래도 책을 읽고 글을 썼어요. 없이 살아도 운치와 격조가 있었던 거예요. 요즘 세상엔 아무도 그렇게 못하죠. 일단 먹을 것부터 챙겨놓고 보자는 식이잖아요. 꼭이 당신 들으라고 하는 소리가 아니니까 또 발끈하지 말요."-윤대녕의 중에서- 2016. 3. 19.
권정생의 동화<강아지똥>, 삶을 향한 따스한 위로 "그런데 한 가지 꼭 필요한 게 있어."민들레가 말하면서 강아지똥을 봤어요."......""네가 거름이 돼 줘야 한단다.""내가 거름이 되다니?""네 몸뚱이를 고스란히 녹여 내 몸 속으로 들어와야 해. 그래야만 별처럼 고운 꽃이 핀단다." 권정생 선생님의 동화책에 나오는 강아지똥과 민들레의 대화내용이다. 이 동화책은 강아지가 싼 똥을 의인화 시켜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강아지 똥은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여겨 늘 의기소침해 있다. 그러다가 자신을 필요로 하는 민들레를 만나게 되면서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된다. '나도 누군가에게 필요한 존재구나.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일을 할 수 있구나.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데 소중한 거름이 될 수 있구나." 강아지 똥은 아마 이런 생각을 하며 민들레가 예쁘게 필 수 있도록.. 2016. 3. 6.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18, 20,21권 밑줄 그은 문장 사통오달의 광장에 서서 여행가방을 팔에 낀 영광은 담배를 뽑아물고 두 손으로 바람을 막으며 담뱃불을 붙인다. 언제나 그랬지만 가슴이 설레었다. 어디든 떠단다는 것은 새로움이다. 자기 자신으로부터 또 다른 하나의 자신이 마치 번데기에서 빠져나온 것처럼, 폐쇄된 자기 자신으로부터 문을 열고 나서는, 그것은 신선한 해방감이다. 그러나 새로움이란 낯섦이며 여행은 빈 들판에 홀로 남은 겨울새같이 외로운 것, 어쩌면 새로움은 또 하나의 자기 폐쇄를 의미하는 것인지 모른다. 마주치는 사물과 자신은 전혀 무관한 타인으로서 철저한 또 하나의 소외는 아닐는지.-박경리 제18권, 233쪽- 어제 일같이 눈앞에 생생하게 떠올랐다. 왜 그때 일이 생각났을까? 서희는 아마도 마을 아낙이 와서 통곡을 한 때문에 그 기억이 되살아났.. 2016. 3. 6.
토지 17권 밑줄 그은 문장 한 개인의 삶은 객관적인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불행이나 행복이라는 말 자체가 얼마나 모호한가. 가령 땀 흘리고 일을 하다가 시장해진 사람이 우거짓국에 밥 한술 말아먹는 순간 혀끝에 느껴지는 것은 바로 황홀한 행복감이다. 한편 산해진미를 눈 앞에 두고도 입맛이 없는 사람은 혀끝에 느껴지는 황홀감을 체험할 수 없다. 결국 객관적 척도는 대부분 보잘 것 없는 우거짓국과 맛좋은 고기반찬과의 비교에서 이루어지며 남에게 보여지는 것, 보일 수 있는 것이 대부분 객관의 기준이 된다. 사실 보여주고 보여지는 것은 엄격히 따져보면 삶의 낭비이며 진실과 별반 관계가 없다. 삶의 진실은 전시되고 정체하는 것이 아니며 가는 것이요 움직이는 것이며 그리하여 유형 무형의 질량으로 충족되며 남는 것이다.-박경리의.. 2016. 2. 22.
옥천군 정지용생가터, 정지용시집 초판본, 카페 꼬레 향수를 담은 집, 향수상회, 향수순대국밥. 정지용생가터 주변에는 유독 '향수'란 단어가 많이 보인다. 생가터 바로 옆에는 문학관이 자리잡고 있다. 동그란 안경을 쓴 시인의 동상은 고향을 굽어보고 있는 듯하다. 17살까지 옥천에 살았던 이야기부터 휘문고보 시절, 일본유학시절까지 삶 이야기가 실개천처럼 흐르고 있다. 고즈넉한 동네다. 향수길 따라 시인의 시구를 옮겨놓은 벽화가 예쁘다. 가까운 곳에 육영수생가지가 있다. 생가터로 가기전에는 독특한 분위기의 '카페 꼬레'와 만날 수 있다. 카페모카를 한 잔 시켰다. 파란 하늘이 물들어 있는듯한 외관을 가진 카페다. 통영 바닷가의 아기자기한 카페 느낌도 난다. 빅뱅의 노래 '뱅뱅뱅' 노래가 흘러나온다. 1935년 초판본을 떠올려본다. 천재시인의 등장을 세상에 알린.. 2016. 2. 20.
알레산드로 멘디니의 디자인 철학 알레산드로 멘디니의 디자인 철학이다. 나는 결코 물체 그것의 실질적인 또는,기능적인 목적 단독으로 감별하지 않는다.모든 한 가지 물체는 상징, 집착, 기표,유토피아로서 꿈의 제품, 무드와 열정이다.모든 물체는 사람처럼 태어나서하나 또는 여러 삶으로 출발하며,여러 가지를 경험하며, 소멸되고, 죽는다.물체는 결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그것이 표출하는 에너지는 스토리가 있고,그것 자신의 운명이 있고, 물체의 모양에개성을 부여한다. 나는 항상 이러한 서술적감각을 표출하려 한다.그러고 물체와 사용자가 마치 소설의 작가를만나는 것 같은 시도를 한다.나는 스타일 구조, 표면의 색깔을 통해그것의 스토리를 말한다.-책 70쪽- 알레산드로 멘디니의 디자인 방법론(1984년)1.물체를 기능이 아니라 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자인.. 2016. 2. 6.
뱅자맹 주아노의 얼굴, 누나는 내게 물었다 중딩때였다. 어느날 거울을 한참동안 들여다보던 친누나가 물었다. "나 예뻐?""응.." 나는 건성으로 대답했다. 꼭 자신이 예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고, 그 예쁘다는 사실을 확인받고 싶어하는 뉘앙스였다. 누나는 재차 물었다. "예쁘냐고?""응!!!" 진심이 담긴 목소리로 "응, 누난 정말 예뻐'라고 말을 할 걸 그랬다. 그런데 귀찮았다. 속으로 생각했다. '왜 그런 걸 묻는거야?!!!!' 나도 거울을 들여다본다. 콧털을 자를 때, 면도를 할 때, 샤워하고 난 후. 불어난 몸뚱이를 보다가는 고개를 홱 돌리고 말지만. 수십번 거울을 봤으나 잘생기지는 않았다. 물론 얼굴 중 자신있는 부위는 있다. 말하기는 창피하다. ㅋㅋㅋㅋ 뱅자맹 주아노의 책 '얼굴-감출 수 없는 내면의 지도'를 보다가 시시콜콜한 이야기가.. 2016. 2. 6.
그리스인 조르바의 명대사 "결국 당신은 내가 인간이라는 걸 인정해야 한다 이겁니다.""인간이라니, 무슨 뜻이죠?""자유라는거지."-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24쪽, 열린책들- "생명이란 모든 사람에게 오직 일회적인 것,즐기려면 바로 이 세상에서 즐길 수밖에 없다는 경고였다."-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246쪽, 열린책들- "나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다.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나는 자유다."-니코스 카잔차키스가 생전에 쓴 묘비명- 2016. 2. 4.